의료원 소식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LUMNI ASSOCIATION

고대 안암 김신곤 교수팀, 빅데이터 연구 통해 한국인 대사증후군 약물치료의 새로운 근거 마련

2019-10-10
조회수 1274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페노피브레이트,한국인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26% 낮춰   

고대 안암 김신곤 교수팀빅데이터 연구 통해

한국인 대사증후군 약물치료의 새로운 근거 마련

   

고려대학교 김신곤 교수팀(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김남훈 교수의학통계학과 이준영 교수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한기훈 교수)이 한국인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페노피브레이트 치료의 병행이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규명했다국가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이 약제의 효능을 증명한 것은 세계 최초이다.     

김신곤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코호트(2002-2015)를 기반으로 스타틴제제(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복용 중인 대사증후군 환자 29,771명을 대상으로 페노피브레이트를 복용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평균 30개월을 추적하였다그 결과 페노피브레이트 복용군에서 심근경색증뇌졸중심혈관사망이 26%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특히 이 효과는 중성지방이 높고 HDL 콜레스테롤이 낮은 환자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스타틴은 많은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심혈관질환의 고위험군에서 LDL콜레스테를을 낮춰 심근경색증뇌졸중심혈관사망을 줄일 수 있는 약제로 인정받았다스타틴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20~30% 줄일수 있지만 LDL콜레스테롤 조절에만 집중하기 때문에잔여위험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치료제가 필요했다.     

페노피브레이트는 주로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에 작용하는 약제(PPAR-α 효용제)로서 혈중 지질 수치 개선 이외에도 죽상동맥경화증을 호전시켜 심혈관 잔여 위험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었다하지만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두 차례의 대규모 임상시험(FIELD 연구, ACCORD-Lipid 연구)에서 페노피브레이트는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데 실패한 바 있었다.     

연구팀은 이전의 실패한 연구들이 제2형 당뇨병이라는 다소 제한적인 조건에서 중성지방이 높지 않은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 주목했다따라서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한국인에서는 효능을 증명할 수 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국가기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세계 최초로 한국인에서의 페노피브레이트의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를 밝힌 것이다.     

김신곤 교수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더라도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는 페노피브레이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또한 우리나라 국가기반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간 저평가되어왔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신곤 교수는 또, “기존의 많은 연구와 진단,치료의 기준들이 서양인에 맞춰져있어 한국인에게 적용하기 다소 부적절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며, “한국인의 자료를 분석하여 세계적인 연구결과로 만들어내 국민들이 가장 건강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만드는 일들이 앞으로 더욱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임상의학학술지 BMJ (Impact factor 27.6) 최신호에 게재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0